![](https://longblack-contens.s3.ap-northeast-2.amazonaws.com/image/20230202/16753320870aaaf33d28347d090bd706576af286f1.png)
롱블랙 프렌즈 L
어제 집 대청소를 싹 했거든. 잘 안 쓰는데 버리긴 아까운 물건들이 우수수 나왔어. 이런 물건들은 당연히 ‘당근’ 해야지.
당근마켓에 무료 나눔 올리니까 채팅이 물 밀듯이 쏟아지더라. 아니, 당근 쓰는 사람이 이렇게 많아? 궁금한 건 못 참지. 저번에 토스랑 레볼루트를 분석해줬던 허윤희 프로덕트 매니저한테 전화해서 물어봤어. 당근마켓 MAU월간활성이용자 수가 얼마나 되냐고.
그랬더니 넥스트도어까지 알려주더라? 레볼루트가 영국판 토스였던 것처럼, 넥스트도어는 미국판 당근마켓이래. 자, 바로 분석 들어가 보자.
![](https://longblack-contens.s3.ap-northeast-2.amazonaws.com/image/20230203/1675390197ec066c565d4b987e93239539e6530b9e.png)
허윤희 프로덕트 매니저
대부분의 앱들이 ‘더 멀리, 더 많이’를 강조할 때, ‘우리 동네, 내 근처’에 집중한 서비스가 있습니다. 당근마켓은 다들 아시죠? 그런데 캘리포니아에도 미국판 당근마켓이 있습니다. 넥스트도어Nextdoor라는 서비스죠. ‘옆집’이란 뜻의 이름에서부터 당근마켓과 아주 비슷한 정체성이 보입니다.
당근마켓과 넥스트 도어. 둘은 어떻게 같고, 어떻게 다를까요? 이 둘은 어떤 매력을 통해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앱서비스가 되었을까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