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마이트 : 122년 스프레드 브랜드, 헤이터 마케팅을 무기로 삼다


롱블랙 프렌즈 C 

악플보다 무서운 게 무플이라고 하죠. 여기, 아예 악플을 마케팅 소스로 삼은 과감한 브랜드가 있어요. 바로 영국의 스프레드* 브랜드 마마이트Marmite.
*빵이나 크래커 등에 발라먹는 식품. 대표적으로 잼과 버터가 있다.

올해로 122년 된 영국의 국민 스프레드예요. 연간 2500만 병(2022년 기준) 씩 팔려요. 해외에 나간 한국인들이 김치를 찾듯이, 영국인들은 마마이트를 그리워하죠. 

하지만 국민 브랜드에도 안티는 있는 법! 그 독특한 향과 맛을 싫어하는 사람도 많아요. 호불호가 갈리는 사안이나 인물을 말할 때, ‘마마이트 같다’고 표현할 정도래요. 

그런데 마마이트는 이 불호를 마케팅 자원으로 삼았어요. 브랜드 슬로건부터 ‘좋아하거나, 싫어하거나Love it or Hate it’예요. 호불호 논쟁에 불을 지펴 마마이트를 바이럴 했죠. 일단 입에 오르내려야, 누군가에게 먹힐 테니까요. 

헤이터hater들을 마케팅 콘텐츠로 만들어버린 마마이트. 그 대담한 전략을 함께 파헤쳐 봐요!


Chapter 1.
122년 동안 영국 식탁을 지킨 마마이트

마마이트는 요리사가 아닌 과학자가 만들었어요. 요리보단 발명품이랄까요. 발명가는 1866년 맥주 양조를 연구하던 독일의 화학자 유스투스 리빅Justus Liebig. 다 쓴 맥주 효모yeast*에 소금을 넣어 농축해 봤대요.
*빵과 맥주 등의 발효에 이용하는 미생물 

그랬더니 이런 식품이 됐어요. 색은 검정에 가까운 진한 갈색, 질감은 꿀이나 조청처럼 찐득해요. 강렬한 짠맛이 나고요. 너무 짜서 쓴맛이 날 정도예요. 냄새는 간장이나 춘장 같은 쿰쿰한 발효식품 향이 나요. 진한 치즈 맛이나 농축한 고기 육수 맛이 난다고도 하죠. 한국 사람들은 ‘국간장을 졸인 맛’이나 ‘멸치 액젓 맛’에 비유해요.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