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브랜드 리더들을 직접 만날 기회, IGDS 서울
롱블랙 특별가로 만나보세요
자세히 보기
세계 브랜드 리더들과의 만남, IGDS 서울

자우림 김윤아 : 27년 차 뮤지션, 계속 성장하는 음악을 꿈꾸다


롱블랙 프렌즈 C 

제 학창 시절을 함께 하던 가수가 있어요. 아침에 일어나면, “마치 좋은 일이 생길 것만 같은 날이야(‘Something Good’ 중에서)”라며 주문을 걸었죠.

힘들 때는 “그래도 나는 꿈을 꾸잖아 이상한 이 세상에서도. 이해할 수 없다는 듯 눈을 흘기는 네가 난 더 불쌍해(‘IDOL’ 중에서)”라며 자신감을 불어 넣었죠. 자기 전엔 “너에겐 자격이 있으니까. 이제 짐을 벗고 행복해지길 나는 간절하게 소원해 본다(‘Going Home’ 중에서)”라고, 제 자신을 다독였어요.

눈치채셨나요? 모두 자우림, 그리고 김윤아의 곡이에요. 언젠가는 꼭 만나, 나의 일상에 BGM이 되어줘 고맙다고 말하고 싶었어요. 마침 김포그니 기자가, 그를 서촌에서 만난다고 했어요. 냉큼 따라나섰죠.


김포그니 호프앤피스(H.P) 기자

“김윤아는 국내 밴드 역사에 있어, 여성 프론트맨*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알려준 인물.” 뮤지션 김윤아를 두고 한 음악 평론가는 이같이 정의합니다.
*밴드나 그룹에서 공연을 이끌어가며 그룹의 이미지를 좌우하는 사람

롱블랙 피플이 허락해 주신다면, 저도 여기에 ‘I rest my case(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라는 문구를 첨언하고 싶군요. ‘김윤아’는 ‘김윤아’이기에 그 어떤 부연을 달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영국의 시인 겸 평론가 새뮤얼 존슨Samuel Johnson은 ‘음악은 유일하게 악하지 않은 관능적 기쁨’이라고 했습니다. 마침 최근 발매된 그의 정규 5집 앨범명도 ‘관능소설官能小說’입니다. 그의 음악에서 기쁨을 맞이하시길 바라며, 오늘도 HEY, HEY, HEY.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