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키 : 중년의 술에서 MZ의 수집품으로, 3대 트렌드를 읽다

2023.02.07

성장하고 싶은 직장인을 위한 지식 구독 서비스. 감각의 시대, 가장 앞선 감각적 비즈니스 케이스를 전달하는 것이 미션이다. 하루 한번의 노트를 발행하고, 24시간 동안만 공개함으로써 지식 소비의 습관을 형성하고자 한다. 묵직한 인사이트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려 노력한다.

분석은 차갑게, 기획은 뜨겁게! 감각으로 승부하는 비즈니스 케이스를 찾아내고, 성공 비결을 분석하고, 내 일에 적용하는 걸 즐기는 사업기획자. 스터디 모임 롱블랙에서 깊이있는 인사이트를 제시하는 리더 역할을 맡고 있다.


롱블랙 프렌즈 L 

요새 위스키Whisky가 난리라며? 마트에 갔더니 와인이 아니라 위스키가 노른자 매대에 있더라. 들어가자마자 위스키가 딱 보여. 카페에서도 위스키에 탄산수 섞은 하이볼Highball 파는 곳이 보이고. 또 한 병에 최소 10만원 넘는 발베니Balvenie를 사려고 아침부터 마트 앞에 줄을 선다는 거야. 난 무알콜 맥주만 먹고 있었는데, 40도 넘는 독주에 왜들 그리 빠진 거지? 오늘은 위스키 마켓 리포트야! 


Chapter 1.
아재술 이미지 떠나, MZ의 술 되다

원래 위스키는 유흥업소에서 주로 팔리는 독주였어. 코로나19 전만 해도 위스키 소비의 80~90%는 유흥업소 몫이었지. 중년 남성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이 있었어. 

지금은 달라. 2030세대 소비가 확 늘었거든. 급격한 변화는 2022년부터. GS25의 경우 위스키 고객의 70.8%가 2030세대였어. 위스키를 산 고객 10명 중 7명은 2030세대였단 거야. 2020년에는 절반 정도였는데, 2년 만에 20%가 는 거지. 인스타그램을 봐도 #위스키 #하이볼 두 개 태그 합친 게시물 수가 110만 개 이상!

“과거 위스키 구매자의 90%는 남성이었어요. 지금은 여성이 위스키 소비 트렌드를 주도합니다. 여성 고객 비중이 30~40%로 늘었어요. 또한 소비층이 젊어졌습니다. 이제는 20대 초중반까지도 타깃으로 생각하면서 제품을 들입니다.”
_이영은 롯데마트 보틀벙커 팀장, 이하 롱블랙 인터뷰

위스키의 인기는 관세청 통계에서도 읽혀. 지난해 위스키 수입액은 2억6681만달러(약 3300억원)였어. 전년 대비 52% 늘었지. 2007년 이후 최대 수입액이래. 비싼 술만 들어온 것 아니냐고? 아니, 수입량도 늘었어. 지난해 수입량은 2만7038톤으로 전년보다 72% 늘었지. 앞서 폭발적으로 성장하던 와인은 같은 기간 수입액만 증가했어. 이제 와인은 시장이 어느 정도 무르익었고, 위스키로 눈길이 간 거지!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