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콘텐츠가 궁금하신가요?
전체 노트

요즘 한글, 요즘 기획 : 맛으로, 놀이로 한글을 알리는 사람들


롱블랙 프렌즈 C

벌써 내일이 한글날(10월 9일)이에요! 세종대왕이 만든 한글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만든 의도와 과정’이 전부 나와 있는 문자죠. 한글이 우수하다는 건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봤을 거예요.

요새 한글과 함께 한국어를 배우려는 이들이 늘고 있어요. 미국 대학교에서 외국어 수강 증가율 1위가 바로 한국어래요.* 5년간 38%가 늘었다죠! 2023년엔 언어학습 앱 듀오링고Duolingo에서 한국어가 중국어를 제치고 세계 7위의 학습 언어가 됐어요.
*2021년 기준, 미국 현대언어협회(MLA).

마침 한글이 대세가 된 흐름에 올라탄 기획자들이 있더라고요? 이때다 싶어 만나 봤어요. 지금부터 그 이야기를 풀어볼게요!


Chapter 1.
이제 ‘Buldak’보다, ‘불닭’을 반기는 사람들

한글이 뜬 배경부터 짚어 볼게요. 여기엔 ‘한류’가 있어요. 세계가 한류 열풍인 건, 누구나 알 거예요. 규모도 엄청나죠. 2024년 한류 시장 규모는 760억달러(약 105조원)에 달한다고 해요. 2030년에는 무려 1980억달러(약 274조원) 규모로 커질 거래요!*
*틱톡코리아와 칸타Kantar가 2024년에 발표한 시장 전망치.

성장을 앞장서서 이끈 건 BTS와 「오징어게임」 같은, K팝과 K드라마예요. 이건 익숙한 이야기죠! 그보다 최근 K푸드의 인기가 흥미로워요. 대표적인 게 삼양의 ‘불닭볶음면’이죠. 미국에서 ‘품절 대란’을 일으킬 정도예요. 선물로 ‘까르보나라 맛’ 제품을 받고 눈물을 터트리는 여자아이 영상, 보신 분도 있을 거예요. 틱톡에서 조회 수 6700만회를 기록하며 인기를 끌었죠.  

여기서 주목할 점이 있어요. 해외에 진출한 K푸드가 이름을 쓰는 방식이 달라지고 있거든요. 과거 불닭볶음면은 해외 제품 포장에 ‘Hot chicken flavor ramen’을 내세웠어요. 일단 어떤 제품인지 알려야 했거든요. 인지도가 높아진 다음엔, ‘Buldak’을 크게 썼죠. 지금은? 한글로 ‘불닭볶음면’이 가장 크게 쓰여 있어요!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