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사이클 : ‘친환경 넛지’를 만들어 쓰레기 1억톤을 재활용하다

2022.08.31

성장하고 싶은 직장인을 위한 지식 구독 서비스. 감각의 시대, 가장 앞선 감각적 비즈니스 케이스를 전달하는 것이 미션이다. 하루 한번의 노트를 발행하고, 24시간 동안만 공개함으로써 지식 소비의 습관을 형성하고자 한다. 묵직한 인사이트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려 노력한다.

운동과 캠핑을 좋아하고 '착한 소비'에 꽂혀있는 스타트업 콘텐츠 기획자. 더 나은 세상을 만들 기업과 사람을 알리는 것을 좋아하고, 스스로도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 주말에 친구들과 플로깅을 하는 걸 즐긴다. 롱블랙 스터디 모임의 에너자이저.


롱블랙 프렌즈 K 

쓰레기로 돈을 버는 회사가 있습니다. 미국의 재활용 컨설팅 스타트업 테라사이클TERRACYCLE이에요. 월마트, 하기스, 코카콜라, 로레알 같은 글로벌 제조기업 500곳이 돈을 주고 쓰레기를 맡깁니다. 테라사이클은 이 쓰레기들로 상품을 만들어요. 카프리썬 봉투로 아동용 가방을, 맥도날드 종이컵으로 감자튀김 열쇠고리를 만들죠.

2021년 매출은 3350만 달러. 한화로 약 439억5000만원입니다. 2001년 설립 이래 20년간 매해 성장했어요. 지금까지 미국 시민 8100만명이 테라사이클 재활용에 참여해, 약 1억8100만 톤의 폐기물이 재활용 됐습니다.

비결은 탁월한 넛지nudge*에 있어요. 테라사이클은 친환경을 강요하지도, 윤리에 호소하지도 않습니다. 사람들의 소비 생활에 교묘히 침투해, 나도 모르는 사이 친환경을 실천하게 하죠. 오늘 노트는 부드러운 개입으로 바람직한 선택을 이끌어내는 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강압하지 않고 부드러운 개입으로 사람들이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뜻한다.


Chapter 1.
시작 : 지렁이 비료보다 큰 임팩트가 필요하다 

테라사이클*의 시작은 다름 아닌 지렁이였습니다. 2001년 프린스턴 대학에 다니던 톰 재키가 친구한테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었거든요. “지렁이 배설물이 비료로 최고”라고요. 특히 붉은줄지렁이가 음식물 쓰레기를 빠르게 분해한다고 했죠.
*2001년 미국에서 설립된 테라사이클은 지금까지 21개국에 진출했다. 한국 법인은 2017년 9월에 만들어졌다. 

톰이 곧장 향한 곳은 학교 구내식당. 음식물 쓰레기를 받아다 지렁이 밥으로 준 뒤, 배설물을 모았어요. 천연비료인 셈이죠. 톰은 이 천연비료를 페트병에 담아 동네 마트에 팔아봅니다. 지렁이가 알아서 부지런히 일하는 덕분에 가격경쟁력이 높았죠.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갑니다. 얼마 안 가 홈디포HomeDepot, 월마트Walmart 같은 대형 유통 체인으로부터 입점 문의도 쏟아졌죠.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