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무기력을 되풀이하는가 : 갓생 시대에, 열정에 대해 성찰하다

2023.12.16

20대 중반부터 인문학적인 시선을 담아 세상과 삶을 글로 풀어냈다. 사랑과 행복처럼 삶의 주요한 가치를 고찰하며 얻은 깨달음도 글로 남겼다. 『청춘인문학』을 시작으로, 『사랑이 묻고 인문학이 답하다』까지 총 19권의 책(공저 포함)을 출간했다. 지금은 변호사로도 일하며 ‘쓰는 사람’의 삶을 이어가고 있다.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writerjiwoo 과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jungjiwoowriter/ 계정을 운영하고 있다.

일상에서 발견한 감각적 사례를 콘텐츠로 전파하고 싶은 시니어 에디터.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과 음식, 대화를 좋아한다. 말수는 적지만 롱블랙 스터디 모임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가장 많이 공유하는 멤버.


롱블랙 프렌즈 B  

지인들의 SNS 피드에, 이른바 ‘갓생’(신GOD처럼 성실한 인생) 이라는 단어가 자주 눈에 띕니다. 

요즘 청년들은 하루를 성실히 채우고, 다이어트를 해내고, 한 분야에서 성공한 이들의 노력을 존경하고 동경합니다. 재테크나 부업, 사이드 프로젝트, 부캐(두 번째 사회적 정체성)등 ‘제2의 삶’에도 적극 관심을 표하죠.

대단하다 싶으면서도, 보는 제가 다 버거울 때가 있어요. 정지우 문화평론가 겸 변호사가, 오늘은 갓생 시대의 무기력을 주제로 들려드릴 이야기가 있다고 합니다.


정지우 문화평론가 겸 변호사

제가 청년 시절쯤, 그러니까 벌써 10년쯤 전에 청년들은 ‘노력’이라는 말을 ‘노오오력’이라는 단어로 희화화하며 비판하곤 했습니다.

취업이나 결혼이 어려운 현실에 대해 이야기하면, 기성세대들은 “열심히 노력하면 된다.”라고 답한다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이에 청년들은 “또 노력하라는 이야기냐”라면서 “노오오력은 당신이나 하세요”처럼 반발하며, ‘노력’ 자체를 비판했던 것이죠.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