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은국 : 행복은 기쁨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


롱블랙 프렌즈 C 

행복에 관한 한 문장이 요즘 SNS에 자주 보여요. ‘행복은 기쁨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 이 말에는 원출처가 있어요. 행복학자로 유명한 서은국 연세대 교수의 유학 시절, 그의 지도 교수가 쓴 논문의 한 구절이에요. 서 교수가 10년 전 출간한 책 『행복의 기원』에서 소개했어요.

서은국 교수는 ‘세계 100대 행복학자’로 꼽히는 행복학의 대가예요. 그가 쓴 논문 인용 횟수만 9만 회. UN과 OECD가 매해 ‘행복 지수’를 측정하도록 하는 제안서가 채택되는 현장에도 그가 있었죠.

얼마 전 『행복의 기원』이 10주년 기념 개정판으로 나왔다는 소식이 들려왔어요. 롱블랙 <사유로, 떠나다> 시리즈의 마지막 주인공으로 그를 만나기로 했죠. 평소 서 교수의 행복론에 영감을 받아온 정시우 작가가, 그에게 만남을 청했어요.


정시우 작가 

행복해지려고 열심히 돈을 모으고, 꿈꾸던 명함도 얻었는데 왜 마음 한구석은 허전할까. 행복은 마음먹기에 달렸다기에 명상도 해 봤는데, 왜 행복은 여전히 멀리 있는 것 같을까. 그러던 중 행복에 대한 기존 통념에 반기를 드는 심리학자를 만났습니다. 심리학 베스트셀러 『행복의 기원』에서 심리학자 서은국 교수는 말했죠.

“행복은 삶의 목적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수단일 뿐이다.”

행복을 향한 강박이 역설적으로 행복을 망치는 시대에, ‘유레카’를 만난 기분이 들었죠. 진화론적 관점에서 풀어쓴 행복의 ‘진짜 얼굴’이 충격적이었습니다.

저는 그의 책을 읽고, 방바닥에 앉아 마음을 다스리던 자기최면을 접고, 기쁨을 주는 환경을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기 시작했어요.


Chapter 1.
인간에게 중요하지 않은 감정은 없다

인터뷰 며칠 전, 인간의 감정을 의인화한 픽사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 2」를 봤습니다. 행복에는 꼭 ‘기쁨’만이 관여하는 것은 아님을 영화가 알려주더군요. 좋은 작품을 보면 누군가와 나누고 싶은 마음에 입이 근질근질해지곤 하는데, 마침 만나게 된 이가 행복학자이니 이 기회를 놓칠 수 있나요. 마주하자마자, 영화에 대해 질문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었죠.

“슬픔·두려움·분노·절망 같은 부정적 감정 역시 회피하기보다 나의 일부임을 받아들이는 것이, 행복을 위해 중요한 일인가요”라고 물었습니다.

“그럼요. 슬플 때 슬퍼야 하고, 무서운 상황에선 무서워해야 합니다. 그게 생존을 위한 정상적인 반응이에요. 많은 행복 지침서에선 무조건 ‘긍정적으로 생각하라’고 하는데, 큰일 날 일이죠. 감정은 나를 행복하게 하려고 돌아가는 게 아니거든요. 감정은 우리 뇌에서 키는 ‘교통 신호등’ 같은 겁니다.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망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대처법을 알려 주는 시그널이죠.

가령 눈앞에 절벽이 나타나면 우리 뇌는 두려움과 같은 빨간불을 켜요. “조심해!”라는. 만약 신호등이 오작동 나면 어떻겠어요? 죽죠, 죽어. 인간의 감정 중 중요하지 않은 건 없어요. 모두 존재 이유가 있습니다.”

행복에 대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또 다른 오해는 무엇일까요.

“많은 이들이 행복을 성공과 혼동하고 있어요. 행복을 위해 노력한다고 하지만, 잘 들어보면 성공을 위한 것들이죠. ‘나는 부자가 됐는데, 그럴듯한 직업도 있는데, 왜 행복하지 않지?’ 왜 그러냐. ‘행복=성공’이 아니니까요. 돈·학력 등의 객관적 조건들이 행복과 큰 영향이 없다는 건, 오랜 연구가 밝혀낸 결론입니다.”

인간의 감정을 의인화한 애니메이션 영화 「인사이드 아웃 2」는 ‘기쁨’만이 행복에 관여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행복학자로 유명한 서은국 연세대 교수 또한, 인간의 감정은 모두 존재 이유가 있다고 말한다. ⓒDisney/Pixar